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02:33본문
Download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hwp
그러나 태조의 후계자들은 지방사회에 대한 중앙의 정치군사적 통제력을 강화시켜 정부직속군의 규모, 편제 등을 정비했다. 그러나 경군의 편제를 그같이 상정하는 데에는 문제가되는점 들이 있다
첫째로 명칭이 보군부대에만 있고 마군부대에 없었다는 점이다. 훨씬 더 고급의 부대였을 마군부대가 명칭이 없었다는 것은 보군부대의 명칭이 제도적인 것이 아니라 임시적인 것이었음을 시사한다.
2)2군 6위제 성립
(1) 6위와 2군의 설치
왕조 개창기인 태조대는 지방사회에 대한 정부권력의 침투가 거의 불가능했다. 마군·보군·해군은 전투를 위한 병력이었던 반면 내군은 왕의 경호 병력이었다. 그 결과 성립된 고려조의 정형화된 중앙군제가 2군 6위 제도였다.,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태조대의 경군과 2군 6위제의 성립 및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대상으로하여 작성했습니다.
1) 태조대의 경군
(1) 태조대 경군의 규모
(2) 태조대 경군의 편제
2)2군 6위제 성립
(1) 6위와 2군의 설치
(2) 2군 6위의 임무와 병력편제
3)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관한 제설
(1)부병제설
(2)군반씨족제설
(3) 경·외군 혼성제설
(2) 태조대 경군의 편제
태조대의 경군은 별도의 명칭이 없는 세 개의 마군부대와 특정 명칭을 가지는 다섯 개의 보군부대들로 편제되었던 것으로 상정되어 왔다. 셋째로 다섯 개 보군 대장군 호칭에 ‘天’자가 포함된 사실로 이는 천명을 받은 태조의 명에 따라 적자인 신검의 반군을 토벌하기 위해 출정한 지휘관들에게 부여된 임시적이고 상징적인 직함일 것으로 판단된다된다.
태조대 경군의 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대 무관들의 직제를 살펴봄이 좋을 것이다. 2군에 비해 6위가 먼저 설치되었을 뿐 아니라 병력의 규모 또한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는데 전체 병력의 93%…(skip)
Download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hwp( 67 )





레포트/인문사회
태조대의 경군과 2군 6위제의 성립 및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두 번째로 보군부대의 명칭들은 오직 태조19년(936)년 신검 토벌전에 관한 기록에만 보이고 있다 이것은 특별한 출병이나 작전이 있을 때에 한해 임시적으로 부여되는 직함이었음을 암시한다. 당대의 연대기에는 마군장군과 마군대장군의 구체적인 예와 해군장군·내군장군 등의 장수들의 예가 확인된다된다. 이 같이 태조대의 장군급 무관직제가 마·보·해·내군의 네가지 병력에 따라 설치되었다면 경군의 기본편제도 같았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태조가 그의 직속병력을 이같이 병조별로 구별하여 운용한 것은 후백제군과의 전투 및 영토확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한국중세사-경군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인문사회레포트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
한국중세사-경군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