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5 17:27
본문
Download : 장애인 복지_1123314.hwp
능력장애의 개념(槪念)에서 볼 때 장애인은 노인이나 만성질환자 남녀로서, 직장인으로서, 가장이나 주부로서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포함되며 이러한 장애개념(槪念)을 장애범주로 보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는 독일이다.
③ 사회적 불리(handicap) : 사회적 불리는 기능장애는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장애인과 그를 둘러…(To be continued )
^^장애인복지3 , 장애인 복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장애인 복지_1123314.hwp( 68 )
^^
장애인 복지
장애인복지3
Ⅰ. 장애 장애인의 definition
Ⅱ. 우리나라 장애인의 현재상황
Ⅲ. 장애인복지란?
Ⅳ.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변천사
Ⅴ. 장애인복지 관련 법률 및 제도
Ⅵ. 장애인복지의 영역별 서비스
Ⅶ. 재활理論
Ⅷ. 느낀 점
Ⅸ. 장애인 봉사 시 기본적인 주의 사항과 바른 예절
Ⅰ. 장애·장애인의 definition
1. 장애의 definition
1980년 WHO에서는 장애를 세 가지 차원 즉 심신의 손상(impairment), 능력장애(disability), 사회적 불리(handicap)로 definition 한 이래 1983년 세계행동계획 등 UN의 각종 선언에서 장애개념(槪念)으로 받아들이고 있다아
① 손상(impairment) : 손상은 신체구조학적, 해부학적 기능 및 심리적인 구조나 기능의 일부가 상실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미국의학협회의 definition 에 의하면 손상은 전문가적 결정으로 이는 증후나 증상, 검사실 소견 또는 심리적 검사에 입각해서 평가된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이상이나 의미 있는 행동상의 alteration(변화) 를 말한다. 손상의 개념(槪念)에서 볼 때 장애인은 시각, 청각, 언어, 지체, 정신지체, 정서장애 등 외부로 현저하게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characteristic(특성)을 가진 자를 말하며, 우리나라와 Japan의 경우는 장애를 이러한 측면에서 definition 하고 있다아
② 능력장애(disability) : 능력장애란 기능제약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능력 저하로 정상적이라고 생각되는 방법이나 범위에 속하는 행동이 불가능하거나 제한되어 있는 상태로 인해 활동하는 능력의 결여 또는 제한을 가진 상태를 의미한다. 즉 능력장애는 정신적·신체적 증상의 결과만이 아닌 그 상태에 대한 그 개인의 adaptation(적응) 의 결과로서 신체장애의 직접·간접적인 effect으로 의식구조 기능에 발생한 의식장애(despair)가 신체장애와 합해진 것을 말한다. 이러한 손상은 평가 당시 이 손상이 변동 안될 것으로 생각되거나 진행성이 없는 영구적인 손상, 즉 불가역적 상태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