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16:06
본문
Download :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hwp
그는 만일 왕이 공적 의로움을 추구하지 않고 사적 이익만 추구한다면 위와 아래가 서로 이익을 취하고자 하므로 나라의 평화로운 질서 유지에 손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맹자의 견해에 의하면 사적 이익이 팽배한 사회는 구성원들 각자가 자신의 이익 확보를 위해 다른 사람들 배타적으로 대하며 다툼이 끊임없이 이어지므로 사회가 혼란스러워지고, 공적 의로움이 팽배한 사회는 구성원들 각자가 자신의 이익보다 공동체의 건강한 질서 유지를 선호함으로 말미암아 평화로운 분위기가 이어진다. 그는 사적 이익이 팽배한 사회에 대해, 치우침과 위험과 어그러짐과 어지러움이 만연한 사회로 여겼다. 이철승, 「‘세계화’시대 ‘유교공동체주의’의 의의와 문제」,『시대와 철학』, 제 18권, 3호, 2007, 146쪽 참고
인간의 본성을 이기심으로 여기고 있는 순자 역이 사적 이익이 팽배한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그는 사람들이 비록 의로움과 이익을 함께 가지도 있을지라도, 어지러운 세상을 방지하고 잘 다스려지는 세상을 위해 의로움을 중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특히 그는 사회의 지도층에 속하는 선비는 사적 이익을 중시하는 민중들과 달리, 공적 의로움을 중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이것은 맹자 또한 공자와 같이 공적 의로움에 의한 공동체 사회 건설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이 때문에 그는 사적 이익 추구보다 어짊과 의로움의 실현을 통해 사회를 안정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다. 그는 건강한 공동체 사회가 지속되기 위해 공적 의로움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여겼다. 즉 그는 사적 이익이 팽배한 사회는 싸움과 도적질과 음란함이 발생하여 사양함과 충성스러움과 믿음과 예의 제도 등이 사라지므로 인해 사회가 더욱 혼란스러워질 것으로 생각하였다.
1) 공자
공자의 이상을 현실 정치에 반영하고자 했던 맹자 역시 사적 이익보다 공적 의로움을 중시했다.
Download :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hwp( 68 )
설명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순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전통적으로 상당수 유학자들은 개인의 이익 문제에 대해 자유주의자들과 다른 관점을 유지했다. 이것은 순자 역시 공자나 맹자와 같이 의로움이 유지되는 건강한 공동체 사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사적이익과 공적의로움의 문제
2) 맹자
3) 순자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는 사적인 이익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공적 의로움에 앞선 사적인 이익 추구를 경계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그들은 개인의 이익보다 공적인 의로움을 중시했다. 그는 공적 의로움을 전제하지 않는 개인의 이익 추구에 대해, 평화로운 공동체 사회의 유지에 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을 조성하는 요인으로 생각했다. 그는 사적 이익을 중시하는 양혜왕에게 사적 이익보다 어짊과 의로움 등 공공의 이익 추구를 권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