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分析(분석)화학]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STM)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0:50
본문
Download :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hwp
하지만 IBM연구원들의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의 개발로 원자단위에서 기록하고 급속히 바뀌는 원자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게 됐다. 전자 빔은 물결이 흐르듯 wave 함수의 형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물체를 우회해서 통과할 수가 있따 주사 터널링 현미경은 이러한 전자의 property(특성)을 이용해, 바늘처럼 생긴 뾰족한 침으로부터 시료를 향해 전자를 쏘아준다.
Download :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hwp( 52 )
Ⅴ 다른 기기와의 비교分析(분석)
공업분석화학,Scanning Tunneling Microscopy(STM)기기
현미경에는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이 있는데, 1981년에 주사 터널링 현미경이 개발되어 응용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맹인은 손가락의 촉각에 의지해 머릿속으로 하나의 상을 만든다. 주사 터널링 현미경도 이와 비슷한 원리로 작동한다. 예전에는 원자에서 일어나는 일을 사진으로 찍으려면 수 시간이 걸렸다.
다.
Ⅲ Principle
Ⅰ Introduction
[공업分析(분석)화학]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STM)기기
순서
설명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은 전도성을 가진 시료의 표면을 아주 첨예한 터널링 탐침으로 스캐닝 하여 시료 표면의 형태를 observe하는 장비이다.
Ⅵ bibliography
Ⅱ Theory (양자 터널링 현상)
Ⅳ STM의 장점(長點) 및 주의점
주사 터널링 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STM)]은 전자의 터널링 效果(효과)를 이용해 물질의 미세구조를 측정(測定) 하는 장치이다. 물질의 미세한 구조를 observe할 necessity need을 느낀 스위스 취리히 소재의 IBM연구원이었던 게르트 비니히(G . Binning)와 하인리히 로러(H . Roher)에 의해 1982년 개발되었다. 텅스텐이나 백금 등 단단하고 안정된 금속을 연마라는 방법으로 그 끝을 뾰족하게 만들어, 그 바늘(탐침)을 측정(測定) 하고자 하는 시료에 접근시킨다.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170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3%B5%EC%97%85%EB%B6%84%EC%84%9D%ED%99%94%ED%95%99%5D%20Scanning%20Tu-1706_01.jpg)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170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3%B5%EC%97%85%EB%B6%84%EC%84%9D%ED%99%94%ED%95%99%5D%20Scanning%20Tu-1706_02_.jpg)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170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3%B5%EC%97%85%EB%B6%84%EC%84%9D%ED%99%94%ED%95%99%5D%20Scanning%20Tu-1706_03_.jpg)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170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3%B5%EC%97%85%EB%B6%84%EC%84%9D%ED%99%94%ED%95%99%5D%20Scanning%20Tu-1706_04_.jpg)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170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A%B3%B5%EC%97%85%EB%B6%84%EC%84%9D%ED%99%94%ED%95%99%5D%20Scanning%20Tu-1706_05_.jpg)
Ⅰ Introduction Ⅱ Theory (양자 터널링 현상) Ⅲ Principle Ⅳ STM의 장점 및 주의점 Ⅴ 다른 기기와의 비교분석 Ⅵ 참고문헌
이 때 뾰족한 탐침을 시료 표면에 접근시키고 양단간에 적당한 전압을 걸어주면 비록 두 개의 도체가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 간격이 아주 작을 경우 전자가 에너지 벽을 뚫고 지나가는 양자역학적 터널링(tunneling) 현상이 일어나며 이때 흐르는 터널링 전류는 탐침과 시료 사이의 간격에 민감하게 reaction response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