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부(異斯夫), 그는 과연 누구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4:20
본문
Download : 이사부(異斯夫), 그는 과연 누구인가.hwp
3. 의복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사부는 신라 골품체계의 관등 중 최상층의 이찬, 상대등의 직위에 속한다. 신라의 의복제도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는 삼국사기 제 33권 잡지 제 2권 색복지(色服志)를 보면 법흥왕 때의 제도로 태대각간(太大角干)에서 대아찬(大阿湌)까지 자줏빛 옷을 입었다하였고, 이찬(伊&…(drop)
이사부(異斯夫), 그는 과연 누구인가?
그에 대한 것이라고는 신라 지증왕 때 우산국을 정벌한 장군이라는 것밖에 떠올리지 못하는 요즘 그나마 남아있는 그에 대한 reference(자료)와 신라의 생활상을 반영하여는 reference(자료)들로 그의 삶을 떠올려 보고자 작성된 글입니다. 또한 이사부의 세력기반이 아주 탄탄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하겠다. 그리고 이는 신라왕실의 문란했던 성윤리를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이사부는 법흥왕의 사위도 되었으며, 진흥왕의 또다른 아버지가 되는 셈이었다. 이로써 이사부는 왕족 또는 진골귀족 출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따 또 이사부라는 이름의 뜻은 ‘이은 머리’, 즉, ‘계승한 상관’이란 뜻으로 고위직을 계승했음을 알 수 있따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 4권을 보면 지증왕 6년 2월에 왕이 친히 국내의 주군현(州郡縣)을 정하고 실직주[悉直州:三陟(삼척)]를 두어 이사부(異斯夫)로 군주(軍主)를 삼으니, 군주란 이름이 여기서 스타트되었다라고 적혀 있고, 삼국사기 제 40권 잡지 제 9권을 보면 도독[都督:주(州)의 장관(長官)]은 모두 9명인데, 智證王(지증왕) 6년에 이사부(異斯夫)로 실직주(悉直州) 군주(軍主)를 삼았는데, 문무왕(文武王) 원년에 총관(摠管)으로 고쳤고, 원성왕(元聖王) 원년에 도독(都督)으로 일컬었고, 관등(官等)은 급찬(級飡)에서 이찬(伊飡)까지로 하였다라고 말하고 있따 위 data(資料)들로 보아 이사부는 우리가 알고 있는 장군, 그 이상의 관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따
2. 성과 결혼
《화랑세기(花郞世紀)》에 따르면 법흥왕의 딸인 지소태후는 법흥왕의 동생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과 결혼하여 진흥왕을 낳았으며, 상대등(지금의 국무총리) 이사부(태종)와 사통(私通)하여 숙명공주, 세종, 만호태후를 낳았다고 한다. 이사부異斯夫그는 , 이사부(異斯夫), 그는 과연 누구인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
Download : 이사부(異斯夫), 그는 과연 누구인가.hwp( 64 )
,%20%EA%B7%B8%EB%8A%94%20%EA%B3%BC%EC%97%B0%20%EB%88%84%EA%B5%AC%EC%9D%B8%EA%B0%80_hwp_01.gif)
,%20%EA%B7%B8%EB%8A%94%20%EA%B3%BC%EC%97%B0%20%EB%88%84%EA%B5%AC%EC%9D%B8%EA%B0%80_hwp_02.gif)
그에 대한 것이라고는 신라 지증왕 때 우산국을 정벌한 장군이라는 것밖에 떠올리지 못하는 요즘 그나마 남아있는 그에 대한 자료와 신라의 생활상을 반영하여는 자료들로 그의 삶을 떠올려 보고자 작성된 글입니다.레포트/인문사회
이사부異斯夫그는
1. 신분
2. 성과 결혼
3. 의복
4. 업적
5. 그에 대한 짧은 평가
1. 신분
삼국사기 열전에 따르면 이사부의 성은 김씨이고 이름은 태종(苔宗)이며, 신라 내물왕(奈物王)의 4대손(四代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