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04:32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hwp
▶ goal(목표) : 각 개인이 지history회의 필요와 조화를 이루면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그 자신의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관계를 goal(목표) 로 함.
㉮ 고도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사회變化와 현대의 사회복지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치 못하는 잔여적 사회복지를 보강하기…(생략(省略))
Download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hwp( 21 )
순서


사회복지의분야,웰렌스키와르보,라이언,잔여적개념,제도적개념,인문사회,레포트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웰렌스키와 르보,라이언의이념적토대,잔여적개념,제도적개념,예외주의적개념,보편주의적개념, ,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의분야 웰렌스키와르보 라이언 잔여적개념 제도적개념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사회복지의 분야 구분,웰렌스키와 르보,라이언의이념적토대,잔여적concept(개념),제도적concept(개념),예외주의적concept(개념),보편주의적concept(개념),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1) 제도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관점
⑴ 웰렌스키와 르보의 구분
① 잔여적(residual) 개념(槪念)(개인의 책임성 강조)
② 제도적(institutional) 개념(槪念)(사회구조적인 책임 강조)
⑵ 라이언(Ryan)의 이념적 토대
① 예외주의적(exceptionalism) 개념(槪念)
② 보편주의적(universalism) 개념(槪念)
2) 사회문제의 영역에 다른 구분
3) 사회복지 대상층에 따른 구분
1) 제도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관점
⑴ 웰렌스키와 르보(Wilensky & Lebeaux, 1979)의 구분
① 잔여적(residual) 개념(槪念)(개인의 책임성 강조) : 사회복지 제도는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원활히 수행치 못 할 경우에 파생되는 문제를 보완, 해소하기 위한 제도.
▶ 전제 : 개인의 생활의 여러 욕구가 이것을 충족시켜야 하는 가족이나 시장경제와 같은 통로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충족될 것이라는 사실.
㉮ 통상적이고 정상적인 사회구조가 붕괴되었을 때에 한정해서 사회복지가 요청된다는 것.
㉯ 사회의 기본적인 제도인 가족제도와 시장경제제도가 어떤 사유로 인해서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을 때 사회복지가 일시적으로 기본제도를 대신하게 되는 것.
사회복지의 분야 구분
1) 제도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관점
⑴ 웰렌스키와 르보(Wilensky & Lebeaux, 1979)의 구분
① 잔여적(residual) 개념(槪念)(개인의 책임성 강조) : 사회복지 제도는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원활히 수행치 못 할 경우에 파생되는 문제를 보완, 해소하기 위한 제도.
▶ 전제 : 개인의 생활의 여러 욕구가 이것을 충족시켜야 하는 가족이나 시장경제와 같은 통로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충족될 것이라는 사실.
㉮ 통상적이고 정상적인 사회구조가 붕괴되었을 때에 한정해서 사회복지가 요청된다는 것.
㉯ 사회의 기본적인 제도인 가족제도와 시장경제제도가 어떤 사유로 인해서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을 때 사회복지가 일시적으로 기본제도를 대신하게 되는 것.
㉰ 사회복지를 가족제도와 시장체계의 보충하는 제도로 보는 것.
㉱ 비상대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회구조의 기능이 정상을 회복했을 때 이 기능은 철수되는 것.
㉲ 사회복지의 기능은 사람들이 정상적인 생활욕구를 충족할 수 있을 때까지 도움을 제공하는 것.
㉳ 클라이언트는 가능한 빨리 도움을 받지 않아야 된다는 도덕적 의무감을 가져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 사회복지의 대상은 비정상적이고 병리적인 사람일 뿐 아니라 이웃보다 약하고 適應(적응)이 잘못된 사람으로 간주됨.
▶ 오명, 응급조치적 요소, 비정상성을 수반한다.
② 제도적(institutional) 개념(槪念)(사회구조적인 책임 강조) : 사회복지는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우선적인 기능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