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精神) concept(개념)의 연원과 特性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06:54
본문
Download : 정신(精神) 개념의 연원과 특성.hwp
이 외에도 심전, 본성, 불성등의 많은 호칭이 있다아
정전에서는 정신과 성품을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으나 『정산종사법어』에는 이를 구별하는 용례도 있다아
「성품은 본연의 체요 성품에서 정신이 나타나나니 정신은 성품과 대동하나 영령한 감이 있는 것이니 정신에서 분별이 나타날 때가 마음이요 마음에서 뜻이 나타나나니 뜻은 곧 마음이 동하여 가는 곳이니라.」
또 정산종사는 정신은 한 생각이 청정하고 온전한 상태를 의미하고 성품은 한 생각도 나지 않는 일념미생전처(一念未生前處)라고도 구별한다. 이러한 용례는 매우 미묘하고 엄밀한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보통은 정신과 성품을 동의어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 때 올바로 구하고 올바로 사용하는 정신, 즉 주체화된 정신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내용을 살피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성격만을 살펴본다면 정전 정신수양에 규정된 내용이다. 여기서…(생략(省略))
정신(精神) concept(개념)의 연원과 特性
Download : 정신(精神) 개념의 연원과 특성.hwp( 57 )
Ⅳ. 정신수양에서의 정신concept(개념)
Ⅳ. 정신수양에서의 정신개념 앞에서는 정신개벽이 결국은 도덕적 정신, 즉 물질을 구하는 정신과 사용하는 정신을 개벽시키자는 것으로 ... , 정신(精神) 개념의 연원과 특성인문사회레포트 ,
앞에서는 정신개벽이 결국은 도덕적 정신, 즉 물질을 구하는 정신과 사용하는 정신을 개벽시키자는 것으로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20%EA%B0%9C%EB%85%90%EC%9D%98%20%EC%97%B0%EC%9B%90%EA%B3%BC%20%ED%8A%B9%EC%84%B1_hwp_01.gif)
%20%EA%B0%9C%EB%85%90%EC%9D%98%20%EC%97%B0%EC%9B%90%EA%B3%BC%20%ED%8A%B9%EC%84%B1_hwp_02.gif)
%20%EA%B0%9C%EB%85%90%EC%9D%98%20%EC%97%B0%EC%9B%90%EA%B3%BC%20%ED%8A%B9%EC%84%B1_hwp_03.gif)
%20%EA%B0%9C%EB%85%90%EC%9D%98%20%EC%97%B0%EC%9B%90%EA%B3%BC%20%ED%8A%B9%EC%84%B1_hwp_04.gif)
%20%EA%B0%9C%EB%85%90%EC%9D%98%20%EC%97%B0%EC%9B%90%EA%B3%BC%20%ED%8A%B9%EC%84%B1_hwp_05.gif)
%20%EA%B0%9C%EB%85%90%EC%9D%98%20%EC%97%B0%EC%9B%90%EA%B3%BC%20%ED%8A%B9%EC%84%B1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다.
「정신이라 함은 마음이 두렷하고 고요하여 분별성과 주참심이 없는 경지를 이름이요, 수양이라 함은 안으로 분별성과 주착심을 없이 하며 밖으로 산란하게 하는 경계에 끌리지 아니하여 두렷하고 고요한 정신을 양성함을 이름이니라.」
여기서 분별성이란 예쁘고 밉고 좋아하고 원망하는 마음들이 잠시 잠시 일어나는 것이요, 주착심은 그 분별성이 마음에 자리잡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통불교에서 번뇌는 보통 어리석음(無明)과 애착의 두가지 망념으로 대별되는데 이에 해당하는 것이 분별심과 주착심이라고 볼 수 있다아 이 번뇌가 가라앉은 상태가 정신의 상태로서 정전 좌선법에서는 이를 순연한 근본정신, 또는 원적무별한 진경으로도 표현한다.
Ⅳ. 정신수양에서의 정신관념
앞에서는 정신개벽이 결국은 도덕적 정신, 즉 물질을 구하는 정신과 사용하는 정신을 개벽시키자는 것으로 귀착됨을 살펴보았다. 정전 무시선법에서는 이를 각자의 성품 ??자성이라고도 부르는 데 모두 동일한 대상의 다른 이름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