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교육행정연구방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3:10
본문
Download : [행정학] 교육행정연구방법론.hwp
->Kuhn의 과학적 혁명의 구조에서 나온 것.
cf. paradigm의 이해: (Thomas Kuhn)paradigm, Model, Framework of Reference
*실증주의에 대한 도전: `가치중립적인 객관적인 사실“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과학은 객관적, 보편적이라기 보다는 한 공동체의 관념과 시각에 따라 달라진다. 목차 참고하세요. 필요하신 분에게 많은 활용이 되시길 바라며, 시험 잘 보시길 바랍니다. *^^*
레포트/법학행정
[행정학]교육행정연구방법론[1]..과학론_인식론
다. (과학자 집단의 합의를 전제로 한 과학관) 또다시 anomaly2가 등장하고 이것을 설명(explanation)하는 paradigm3이 등장한다. 그러다보면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2)이 등장하고, 이런 과학에 대한 설명(explanation)은 학자공동체의 합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실증주의는 객관적으로 실제 연구를 중시하는데, 완전히 객관적인 사실이 존재한다는 것은 과학자들이 합의에 의해 전환이 된 것이다.교육행정연구방법론에 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 목차 참고하세요. 필요하신 분에게 많은 활용이 되시길 바라며, 시험 잘 보시길 바랍니다. *^^*[행정학]교육행정연구방법론[1]..과학론_인식론 , [행정학] 교육행정연구방법론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행정학]%20교육행정연구방법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A%B5%90%EC%9C%A1%ED%96%89%EC%A0%95%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_hwp_01.gif)
![[행정학]%20교육행정연구방법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A%B5%90%EC%9C%A1%ED%96%89%EC%A0%95%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_hwp_02.gif)
![[행정학]%20교육행정연구방법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A%B5%90%EC%9C%A1%ED%96%89%EC%A0%95%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_hwp_03.gif)
![[행정학]%20교육행정연구방법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A%B5%90%EC%9C%A1%ED%96%89%EC%A0%95%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_hwp_04.gif)
![[행정학]%20교육행정연구방법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A%B5%90%EC%9C%A1%ED%96%89%EC%A0%95%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_hwp_05.gif)
![[행정학]%20교육행정연구방법론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A%B5%90%EC%9C%A1%ED%96%89%EC%A0%95%EC%97%B0%EA%B5%AC%EB%B0%A9%EB%B2%95%EB%A1%A0_hwp_06.gif)
설명
[행정학] 교육행정연구방법론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행정학] 교육행정연구방법론.hwp( 94 )
1. 과학론의 종류
1.1 경험적, analysis학적 과학론
1.2 해석학적, 현상학적 과학론
1.3 비판적, 사회주의적 과학론
2. 구조주의(structuralism)
1) 구조주의의 定義(정의) 및 특징
2) 평가
3. Post-Modernism
1) 발생 배경 및 定義(정의)
2) 특징
3)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학적 적용
4. theory(이론)과 가치(가치를 과학적 접근을 통해 규명할 수 있는가?)
1) 가치란 무엇인가? (Value, Wert) & 가치론
2) theory(이론)
3) 가치의 theory(이론)화
3) 교육과 교육학
5. 교사 교육 연구에서의 탐구 양식
교사교육 연구에 대한 탐구 양식
Ⅰ. 최근의 연구 발달과 동향
1. core 용어
2. 언어의 문제
Ⅱ. 교사교육 연구의 맥락
1. 연구문제와 방법상의 맥락적(상황적) effect(영향)
2. 인간 test(실험) 대상 및 개인상호관계
3. 기초 연구 vs 응용 연구
4. 연구 보전(완전성)integrity
Ⅲ. 교사교육에 대한 탐구 양식
1. 교사교육 연구 패러다임과 관련 문제
2. test(실험) 법과 유사test(실험) 법
3. 상관 연구
4. 조사연구
5. instance(사례)연구
6. 현장 연구
7. 歷史적 연구
8. 철학적 연구
9. 탐구 양식에 있어서 일반적 문제
Ⅳ. conclusion
1. 연구 양식과 사건들의 최근 발달 경향
2. 연구, theory(이론), 실제와 정책 구성
3. 교사교육연구에 있어서 간학문적 접근
1.1 경험적, analysis학적 과학론 수업시간 내용 참고 요약
(1)-①positivism(실증주의): 과학이란 어떤 현상을 설명(explanation), 통제, 예측 할 수 있는 지식을 얻는 것, 가치중립, 일반화, 보편타당화
(1)-②realism(실재론): 과학이란 觀察가능한 것과 그 배후에 지배하는 인과적 경험을 설명(explanation)하는 것. 觀察된 현상을 일으키는 인과론적 설명(explanation)을 위해 애씀
(1)-③conventionalism(인습주의, 답습주의): 觀察한다, 바라본다는 槪念이 객관적인 것이 될 수 없고, 바라본다는 槪念은 과학자들의 신념과 지식의 지배를 받는다. 이것을 쿤은 정상과학과 혁명과학으로 나누어서 설명(explanation). ∴ 패러다임은 세계를 보는 방식, 설명(explanation)하는 방식이다. 한 시대를 지배하는 틀(paradigm1) 속에서 Anomaly(異常)1이 등장하고, 학자들은 이것을 무시하다가 자주 발생하면 설명(explanation)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렇게 보면, Feyerabend 가 말했듯, “객관성과 합리성은 일종의 신화이다” “과학은 미신과 다를 바 없다”는 것과 비슷하…(To be continued )
교육행정연구방법론에 대해 정리(arrangement)한 reference(자료)입니다. 따라서 과학이란 과학자들의 활동과 신념, 이념의 산물이다. 따라서 객관성의 이면에는 과학자의 주관성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