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윤리의 관념, 계획과 계획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2 08:13
본문
Download : 계획윤리의 개념, 계획과 계획윤리.hwp
따라서 윤리는 가치체계 및 규범과 도덕으로 하여금 보다 이상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가져 오게 하는 역할을 하며 개인의 행위를 규제하는 가장 기본적인 준거가 된다
계획을 현재의 상황에 대한 파악과 과학적인 조사에 근거하여 불만족스러운 현실을 의도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결정행위로 볼 때 계획에 있어서 윤리는 아주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당위성(ought to be: sollen)을 전제로 하며, 도덕 (moral r띰es)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사회적 규범에 비추어 옮고 그름을 판단하게 되므로 가치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렇게 보면 과학적인 성격을 지닌 계획과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는 윤리는 서로 상반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가치는 개인적인 희망이나 취향. 선호를 나타내는 수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차원의 표준적인 가치, 공익적 차원의 이상적인 가치가 모두 포함된다 이렇게 볼 때, 가치는 설명(說明)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정당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계획윤리는 현실에 대한 과학적 접근방법에 있어서 지켜져야 할 윤리적 규범으로 볼 수 …(To be continued )
계획윤리의 개념, 계획과 계획윤리 , 계획윤리의 개념, 계획과 계획윤리기타실험결과 , 계획윤리 개념 계획과 계획윤리
다.
계획윤리의 관념, 계획과 계획윤리
계획윤리,개념,계획과,계획윤리,기타,실험결과
순서
계획윤리의 관념, 계획과 계획윤리
실험결과/기타
설명


Download : 계획윤리의 개념, 계획과 계획윤리.hwp( 92 )
계획윤리의 槪念, 계획과 계획윤리
계획윤리
1. 계획윤리의 槪念
윤리라는 어취는 많이 사용되면서도 그 槪念과 유사 槪念들 사이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지 못하고 있다 윤리(ethics)는 이상적인 차원의 규범적 정신(normative ethos)을 의미하는 것이다. 윤리는 인간 본연의 이성을 토대로 완전과 이상을 추구하는 성향을 반영하여 가치와 규범, 그리고 도덕을 선도하는 성격을 띤다. 또한 윤리는 다분히 창의성과 상상력의 차원에서 도출되며 실정법은 물론 사회규범을 앞서가는 당위적인 행동유형과 판단기준을 제시해 준다. 즉. 계획은 과학적인 조사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논리성. 객관성, 실증성. 보편성 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윤리는 천부의 이성(natural reason)을 바탕으로 인간행위(human conduct)의 정 오와 선 악을 평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