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우리나라 상수도 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3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02 21:15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상수도 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hwp
순서
Construction Environment Research Dept., KICT
Download : 우리나라 상수도 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hwp( 72 )
레포트 우리나라 상수도 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31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ABSTRACT
우리나라 상수도 배수관로의 노후도 동향과 진단방법 improvement(개선)에 관한 연구
for water distribution pipelines in Korea
1. Introduction
상수도시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되어 통수능감소, 적수발생 등 여러가지 결점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운영 및 유지관리에 매우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수도법에 5년마다 수도시설의 진단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정수시설에 비해 배수시설은 DB구축이 되어 있지 않고 노후상태의 동향파악도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구체적인 진단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효율적인 진단이 불가능하며, 이에 대한 improvement(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보고서] 우리나라 상수도 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상수도 시설은 건설된 후 운영 및 유지관리 정도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되며, 시...
Chung, Won-Sik
정원식
1.1 Background
우리나라 상수도 배수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배수시설 중 배수관로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하여 노후도 동향을 파악한 결과, 매설기간이 25년 이상인 회주철관의 통수능 감소는 30% 이상이고 조도성장율은 0.08mm year이고, 시멘트모르터 라이닝은 5년이하 10% 이하, 15년 이상 50% 이상의 중성화를 보였다. 관파손property(특성) 分析 결과 노후도의 주요 원인(原因)은 관부식 30%, 패킹부식 20%로 약 50%가 부식에 기인하였다. 배수시설의 효과적인 진단 및 평가를 위한 진단방법에 대한 improvement(개선)대책으로는 DB구축이 가장 우선적이며, 비파괴 검사와 같은 진단기술의 개발 및 적용, 그리고 Data의 해석을 위한 평가모델의 개발도 병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배수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진단방법론이 제시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Improvement of diagnosis methodology and deterioration conditions
설명
우리나라 상수도 배수관로의 노후도 현황과 진단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