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09:17
본문
Download : 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hwp
종래의 논의들을 보면, 부사... , 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순서
Download : 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hwp( 18 )
설명
부사의 하위 구분 체계
다. 종래의 논의들을 보면, 부사...
,기타,레포트
부사의 definition 과 범주 한정
2장에서는 부사의 definition 를 요약하고 이에 따라 부사의 범주를 한정시켜 보기로 한다.






부사의 槪念과 범주 한정
2장에서는 부사의 정의(定義)를 요점하고 이에 따라 부사의 범주를 한정시켜 보기로 한다.
1) 부사의 definition 문제
우리말 부사에 대한 전통적인 definition 는 대체로 “용언류를 수식하는 component”으로 제시되고 있다아 대표적인 몇 가지 견해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주시경(1910) : 억은 엇더하게 (움)라 이르는 여러 가지를 다 이름이라.
[2] 김두봉(1922) : 억은 “어떠하게”란 말에 “떠하”와 “ㅔ”를 줄인 것”
“억은 씀씨나 억을 꾸미어 금하는 씨”
[3] 박승빈(1935) : 용언의 의의를 수식하는 단어
[1]은 주시경(1910)에서의 견해로 부사의 용언 수식 기능과 그 의미를 뭉뚱그려 definition 한 내용이다. 부사의 수식 대상이 용언과 부사라고만 지적한 것은 잘못이다. 종래의 논의들을 보면, 부사 범주에 이질적인 것들까지 포함된 경우들이 있는데, 이들을 제거해서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으려는 것이다. [2]는 김두봉(1922)에서의 내용으로 “억”이라는 용어가 “어떻게”에서 온 것임을 보이고 “억”의 수식 기능을 밝히고 있다아 곧, 부사는 용언과 부사를 꾸미는 말이라는 것이다. 표면적인 수식 양상을 볼 때, 부사는 관형사 따위를 수식하기도 하기 때문이다(아주 …(省略)
부사의 개념과 범주 한정 2장에서는 부사의 정의를 정리하고 이에 따라 부사의 범주를 한정시켜 보기로 한다. 곧, “어떻게+동사” 구조에서 “어떻게”에 해당하는 말이 부사라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