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서사시의 맥락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01:06
본문
Download : 불교서사시의 맥락 연구.hwp
이에 대하여 단언할 수 없는 마당에 양자의 선후 주종 관계를 속단해서는 안되겠다.






순서
불교서사시의 맥락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월인천강지곡』이 <석가보>(석보상절)를 기초로 하여 성립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용비어천가』가 국가 · 조정이 정책 사업으로 숭유배불의 예각을 드러내고 있는 데 반하여, 『월인천강지곡』이 왕실 · 내궁의 신앙 사업으로 숭불 찬양의 극단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런데, 이보다 더 문제되는 것은 양자간의 규모와 형태의 우열 관계라고 하겠다. 『용비어천가』가 원가 125장에다 해설까지 망라해도 전 1권에 불과한 데에 대하여, 『월인천강지곡』은 본…(생략(省略))
『월인천강지곡』이 <석가보>(석보상절)를 기초로 하여 성립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처럼 『월인천강지곡』과 『용비어천가』가 제작 과정이나 작품 양식 등에서 동류이면서도 작품 정신이나 제작 동기 등에서는 미묘한 대립을 보이고 있음을 간과할 수가 없다. 그러나 과연 현전하는 <석보상절>이 완성된 이후에 그것에 의존하여 『월인천강지곡』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과연 현전하는 <석보상절>이 완성된 이후에 그것에 의존... , 불교서사시의 맥락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불교서사시의 맥락 연구.hwp( 65 )
레포트/인문사회
『월인천강지곡』이 <석가보>(석보상절)를 기초로 하여 성립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런데 <월인석보>에 이르러 양자의 관계가 실증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월인석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월인천강지곡』이 우선해서 주체적으로 나오고, 바로 이어서 거기에 부합되는 내용의 <석보상절>이 부차적으로 나와서 그 해설을 맡고 있는 식이다. 그러나 과연 현전하는 <석보상절>이 완성된 이후에 그것에 의존...
다. 사재동(1970),⌈월인석보의 형태적 연구⌋,『어문연구』6,어문연구회.
이렇게 볼 때에 『월인천강지곡』은 결국 그 선행적 기초 資料로서의 <석가보>와 그 후행적 해설 資料로서의 <석보상절>을 이중적으로 거느리고 있는 셈이라 하겠다.
여기서 우리는 그 제작 과정이 『용비어천가』의 그것과 동궤의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말하자면, 석가 세존의 전생애를 집대성하는 시가체 불경의 신찬에 있어 은밀한 계획이 필수되었을 것은 물론, 이에 의거하여 기초資料로서의 <석가보>가 소략하나마 방대한 분량으로 편성되었을 것이고, 이 <석가보>를 기반으로 하여 드디어 『월인천강지곡』이 찬성되었으며, 이를 보다 상세하고 풍부하게 해설하기 위하여 선행 <석가보>를 증수 국역하는 데에서 <석보상절>이 완성된 것이라 보고 싶은 것이다.